네트워크 토폴로지
컴퓨터 네트워크의 요소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해 놓은 것
LAN은 물리적 토폴리지와 논리적 토폴리지를 보여줄 수 있는 네트워크
종류
ㅇ 망형 (Mesh Topology)
- 네트워크상의 모든 노드를 상호 연결
- 통신선로의 총길이가 가장 긴 네트워크 구조
- 초기 데이타 통신 네트워크의 전형적인 형태
- 공중통신망에 많이 사용
ㅇ 트리형 (Tree Topology)
- 지역과 거리에 따라 연결하므로 통신선로의 총경로가 가장 짧음
- 접속되는 단말기의 숫자에 맞는 통신장비 이용이 가능
- multipoint 데이터 통신망
ㅇ 링형 (Ring Topology, Loop)
- 각 링크가 단방향이어서 데이타는 한 방향으로만 전송
- 각 노드는 데이타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엑세스 제어논리(토큰)을 보유
ㅇ 성형 (Star Topology, Hub and Spoke)
- 중앙집중식 구조
- 중앙의 교환장비가 데이타 경로를 개설하고 유도
- 이용자의 스테이션은 중앙의 교환장비에 point-to-point 링크로 연결
ㅇ 버스형 (Bus Topology)
- 모든 노드(node)들은 간선을 공유하며 버스 T자형(Tap) 등으로 연결
- 간선과 각 단말 장치와의 접속은 간단한 접속장치를 붙이는 것으로 가능
- 통신 부하가 대부분 단말 장치 측으로 분산되므로 통신 시스템 전체의 효율성과
각 단말과의 사이가 거의 비례 관계가 성립
ㅇ 선형구조 (Linear Structure)
- 점대점(PTP) 연결에 의한 형태
* 때론, 버스형이라고도 함
분류
물리적 토폴로지
신호 토폴로지
논리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분류
근거리 통신망 (LAN)
수 킬로미터 내의 가까운 거리에 있는 컴퓨터 및 각종 기기를 통신 회선으로 연결한 통신망
도시 통신망 (MAN)
도시 규모의 거리에 있는 컴퓨터들을 통신 회선으로 연결한 통신망ㅇ
여러 개의 LAN을 라우터로 상호 연결
광역 통신망 (WAN)
국가 또는 대륙과 같은 매우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통신망
OSI 7계층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
1계층 - 물리계층(Physical Layer)
2계층 - 데이터 링크계층(DataLink Layer)
3계층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4계층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5계층 -세션 계층(Session Layer)
6계층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7계층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TCP/IP 4계층
1계층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Network Access Layer)
2계층 - 인터넷 계층(Internet Layer)
3계층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4계층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